

한국의 코스피 지수와 한국의 코로나 확진자 수 추이의 연관성(별로없음)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국내의 코로나 상황보다 미국의 확진자 수 추이와 좀 더 연동되는 듯하다.






- 변동성 심한 장세 (-8%폭락 후 9%반등) (3~4% 오르내림은 아무렇지 않을 정도)
- Fed에서 무제한 양적완화조치 시행 .
- 부동산카페에서 코스피지수 1450왔을 때, 1300~1000까지 내려온다고 기다렸다 매수하라는 조언 많음
- 지금까지와는 다른 위기라는 게시글 수 많음
- 주식시장 폭락 후 1년 있다가 부동산 폭락 온다고 매물 던지라는 의견다수. (실제로 급매가격과 실거래가 올리는 폭락이들 속출)
- 한,미 통화스왑 후 8% 급반등
- 하락폭 클 때(원유가격 하락, S&P 500 -9%하락, 공포지수 급등의 성격을 가짐)
- 코스피 1450 -> 1700까지 올라올 때 게시판 의견 ( 더 오르기전에 올라타자 vs 한번 더 바닥온다) (한 번더 바닥온다는 의견 다수)
- 반등할 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9~10%이상 폭등(이건 뭐 코스닥 종목도 아니고 시총 1~2위가 하루에 10%씩 반등을 하는 모습, 기존시장 참여자들도 처음보는 광경이라고 함)
- 코스피 1450까지 하락할 때 개인 11조 순매수 (동학농민운동이라고 부름) 외국인 12조 순매도 (주식예탁금 코스피 빠질 때 오히려 증가 + 주식투자자 20~30대 비중이 늘어남 + 카페 및 아는 지인이 주식투자해야돼? 물어봄)
- 시장참여자들(주린이) 투자종목 고르지 못해서 삼성전자 위주로 매수 (전문가는 이런 장에서는 종목선별이 중요하다고 조언함. 하지만 종목 모르면 인덱스 또는 삼성전자 매수도 괜찮다고 조언)
- 역사적으로 처음 겪는 장
- 외국인 매도 이유는 외국 달러 보유로 인한 어쩔 수 없는 매도의견

반응형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삼성전자 # 1분기잠정실적 (1) | 2020.04.09 |
---|---|
[주식-study] #국제유가 #국제유가YoY #국제원유감산 (0) | 2020.04.04 |
[주식] 흙 속에서 진주를 찾는 방법 (0) | 2020.03.21 |
[주식] #한미통화스와프 #주식시장 (0) | 2020.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