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증권사리포트

2차전지 이차전지 전기차 배터리 폭스바겐 파워데이 배터리데이 금리발작 성장주 가치주

by 인생은고스톱 2021. 3. 16.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 리서치 보고서 한경컨센서스 주린이 주식 증권 경제 공부 (2차 전지 이차전지 전기차 배터리 폭스바겐 파워데이 배터리 데이 금리 발작 성장주 가치주)

 

안녕하세요. 인생은 고스톱입니다. 어제 폭스바겐 파워데이에 있었던 이슈로 인해서 전기배터리 3사가 오늘 나란히 하락하고 있네요. 2021년 3월 16일 읽어볼 만한 증권사 리포트 정리해보았습니다. 

 

 

  전기전자-폭스바겐 Power Day 후기 / 하이투자증권 / 정원석  


>>중장기적으로 각형 배터리 통합화, 생산 내재화 본격 추진

전세계 최대 완성차 업체인 폭스바겐이 전기차 배터리 전략 방향을 공개하는 행사인 Power Day를 개최하고 배터리 셀, 시스템, 충전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핵심 내용은 크게 4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배터리 셀의 통합화이다. 

둘째, 배터리 셀의 내재화이다.

셋째, 배터리 순환 시스템(The closed loop) 구축이다.

넷째, 주요 국가의 급속 충전소 인프라 확대이다.

폭스바겐은 기존에 파우치, 각형 등 다양했던 배터리 셀 구조를 하나의 각형으로 단일화시켜 2023 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해 2030 년에는 전체 차량의 8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배터리 셀의 규모의 경제와 생산공정 개선, 소재 변화 등을 통해 배터리 가격을 50%가량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배터리 셀을 각형으로 통합하는 것은 장기적으로는 전고체 배터리로 전환을 염두한 선택이다.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에게 충격 불가피, 소재 업체들에게는 기회 요인 가능성 부각

폭스바겐이 Power Day 를 통해 밝힌 배터리 통합화, 내재화 등의 중장기 전략 변화로 국내 배터리 업체들에게 미칠 충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각형 배터리 진영인 삼성 SDI 를 제외한 파우치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LG 에너지 설루션, SK 이노베이션에게는 더욱 당황스러운 소식일 수 밖에 없다. 

반면 폭스바겐이 유럽 내 자체 배터리 생산 설비를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임에 따라 유럽 현지에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는 국내 소재 업체들이나 노스 볼트 향 소재, 부품 공급 업체들에게는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 유럽 내 생산 설비를 구축하고 있는 국내 소재 업체들로는 솔루스 첨단소재(동박), 동화 일렉(전해액), 솔브레인(전해액), 롯데알루미늄(Al 전극), SK 아이 이테크 놀로지(분리막) 등이 있으며, 노스 볼트 향 소재 공급 업체들로는 동진쎄미켐(CNT 도전재), 나노 신소재(CNT 도전재) 등이 있다.

 

전기전자-2차 전지-폭스바겐 Power Day Takeaways / 메리츠증권 / 주민우 


>>배터리

2026년 이후부터는 전체 폭스바겐 전기차에서 Unified Cell(내재화+기타 셀 업체가 공급)의 비중이 MEB 플랫폼을 넘어설 전망. 궁극적으로는 폭스바겐의 목표대로 80%에 이를 전망. 이 과정에서 각형 배터리의 탑재 증가가 예상됨. 즉 2026년까지는 MEB(파우치)가 메인이나, 이후부터는 각 형이 메인이 될 수 있음. 단 이미 수주를 받은 MEB향 파우치 타입 공급사들의 수주잔고 및 실적이 변동하는 이슈는 아님. MEB는 기존 계획대로 진행됨.

 

 

 

   폭스바겐 파워데이 핵심요약 / 유진투자증권 / 이재일  


>>EV 시장 경쟁은 이제 시작에 불과

폭스바겐의 파워 데이 발표는 EV 시장 경쟁이 이제 시작에 불과하고 앞으로 막대한 투자가 경쟁적으로 이루어질 것임을 시사함. 배터리 생산뿐 아니라 2차 활용(ESS 등), 원재료 재사용(Recycling), 고속 충전 네트워크 사업,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설루션 사업까지 미래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줌. 테슬라의 원통형, 폭스바겐의 각형 등 각자의 배터리 표준을 설립하려는 움직임도 눈에 띄는 변화임. 배터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완성차 업체의 직접 투자 및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는 것. 배터리 기술 표준의 변화를 이끄는 기업들의 가치도 그만큼 높아질 것으로 판단됨.

 

 
  금리 발작의 돌파구는 결국 성장 / 메리츠증권 / 이진우  

>>1994년~1995년 금융시장 격변기: 금리(긴축) vs 기술 Cycle(성장)

1994년 이전의 환경을 살펴보자. 1987년 블랙먼데이, 1990년대 초반 저축대부조합 사태(S&L)로 연준은 정책금리를 1989년 9% 초반에서 1992년 3% 로 빠르게 낮췄다. 주식시장도 순항했다. 1994년 초 S&P500은 블랙먼데이 당시 저점 대비 2배가량 올랐다. 문제는 1994년에 들어서다. 예상보다 빠르게 경기회 복의 징후가 관찰됐기 때문이다. 1990년 초반 저축대부조합 사태(S&L) 이후 이어져 온 경기침체가 종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당시 IMF는 전망(WEO)은 1994년부터 미국은 3%의 성장률 정상 국면에 진입하고, 1995년부터는 4%에 가 가운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물가는 1995년부터 3%대 중반으로 오른다는 인플레이션 전망이 확산되면서 연준의 ‘선제적인 통화정책 대응’이 주문되었다.

당시 채권시장은 연준의 정책 전환이 조기에 발생할 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결과는 연준(그린스펀 연준 의장)의 깜작 금리인상이었다. 속도도 빨랐다. 1994년 2월 첫인상을 시작으로 1995년 2월까지 1년 동안 3번의 50bp 인상과 1번의 75bp 인상이 단행됐다. 정책금리가 1년 남짓한 기간에 3.0%에서 6.0%로 두 배 올랐다. 역사는 이 시기를 ‘채권시장 대학살’이라 부른다. 채권시장의 충격이 그만큼 컸던 셈이다. 그리고 과격한 정책 전환은 결국 부작용을 낳았다.

1994년 12월 미국 지방정부인 ‘오렌지 카운티’가 파산신청을 하게 된다. 금리 관련 파생상품의 손실이 그 배경이다. 성장률과 물가도 기대했던 것보다 크게 못 미쳤다. 우려했던 경기과열, 인플레이션은 없었던 셈이다. 결과적으로 연준은 그 해 7월 금리인하를 단행했고, IT버블이었던 1999년까지 수년간의 금리 동결 기조 가 유지되게 된다. 당시의 연준의 정책을 두고 경기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오판 그리고 버블 형성에 일조한 ‘정책 실패’로 평가되는 이유다.

여기서 두 가지 시사점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하나는 1994년 전후의 기억을 보 면 경기 및 인플레이션에 기댄 연준의 선제적 혹은 적극적인 정책의 변화(긴축) 가능성은 낮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금리’뿐만 아니라 금리의 급변동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돌발문제(ex. 한계기업의 부실, 파생상품 손실 등)를 점검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이다. 당시 지방정부의 파산 이슈가 돌발변수로 작용했듯이 말이다. 현재도 마찬가지다. 금리뿐만이 아닌 신용시장의 위축 여부를 체크해 나가는 것도 중요할 듯하다. 다행히 현재까지 이상 징후는 없다.

1994년은 금리에 대한 시장의 민감도가 매우 높았던 시기이기도 하지만 기술의 격변기이기도 했다. 첫 기폭제는 1994년 10월 13일이었다. 넷스케이프 (Netscape)의 창업자인 마크 안드레센은 지금의 형태와 유사한 웹브라우저인 ‘넷 스케이프 내비게이터’를 만들었고, 대중에게 무료로 배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구호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웹’이다. 인터넷 대중화의 신호였다. 두 번째 기폭제는 1995년 8월 24일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95 운영체계 출시다. 넷스케이프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브라우저인 ‘익스플로러’ 탑재한 채 말이다. 훗날 넷스케이프의 몰락을 야기했고, 브라우저 ‘끼워 팔기’ 논란이 마 이크로 소프트의 반독점 소송으로 연결되기는 했지만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변화는 더욱 가속화됐다. 당시 주가는 금리 논란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리(r)보다 는 성장(g)이 부각된 탓이다. 눈여겨볼 점은 당시 PC 시대의 대표주자였던 IBM과 의 비교다. 1994년의 금리 급변 동기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IBM의 주가는 꾸준히 올랐지만 밸류에이션 차별화가 시작된다. 1993년 말 마이크로소프트의 PER(12개 월 예상)은 19.8배에서 1994년 23.7배로 상향조정된 반면 IBM은 27.2배에서 11.6배로 디스카운트받기 시작했다. 1996년 금리 재상승기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 변화는 더욱 심화됐다. 이들 간의 시가총액 역전이 수반됐고, 밸류에이션 격차는 3배 가까이 확대됐다. 금리 환경의 변화가 새로운 트렌드를 바꿨다기보다는 오히 려 그 과정에서도 ‘성장’에 따른 차별화가 투영된 셈이다.

이러한 경험이 지금의 우리 기술 기업에 주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기술 기업에게 는 금리 및 할인율보다는 성장의 지속 vs 도태 여부가 더 중요하고, 금리 상승기는 성장 기업 내에서도 차별화를 오히려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낙 폭이 컸던 기업들의 배경도 마찬가지다. 금리 자체보다는 단기간에 너무 빨리 높아진 성장 기대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성장을 훼손하지 않는 금리 레벨은 눈높이 조정의 명분일 가능성이 높다. 지금은 성장의 핵심 기업을 고르는 게 중요해졌을 뿐이다.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전통 에너지(화석연료)에서 신재 생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이 시대의 변화라면 우리는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까. 순환매의 연장에 대비를 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의 새로운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의 진입 시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고민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선택은 우리의 몫이지만 중기적인 투자자라면 후자가 확률 높은 선택이라고 본다. 금리 적응이 완료되면 주식시장은 원래의 시장 스타일이 재개됐던 경험에서다(금리 Tantrum 전후 Nasdaq과 S&P500 상대지수 참고). 금리(r)가 진정 & 완만한 상 승이 전개되면 ‘진짜’ 성장(g)을 쫓는 것이 주식시장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인지하 고 있는 성장의 대표기업들이 그 대상이다.

 

 

 

국내외 애널리스트 기업분석 보고서 한 번에 모아보기

consensus.hankyung.com/

 

한경 컨센서스

 

consensus.hankyung.com


[출처]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 리서치 보고서 한경컨센서스 주린이 주식 증권 경제 공부 (2차 전지 이차전지 전기차 배터리 폭스바겐 파워데이 배터리 데이 금리 발작 성장주 가치주)

 

 

 

반응형

댓글